Career Development(경력개발)
Career Development(경력개발)
n Point : 개인주도의 자기개발, 조직과 개인의 공생
자기의 능력을 십분 발휘하여서 경력을 형성하는 것이며, 결과로서 기업의 조직목표를 달성 시킨다.
n What : 경력개발이란
생애를 통하여 경력형성에 노력하는 것, 즉 조직의 내외를 통해서 자기를 표현하는 것으로서 넓은 의미에서의 업무의 의미와 내용을 풍부하게 하는 것이다.
경력이란 일반적으로 경력, 이력 또는 그 사람의 전문직업, 따위의 의미이지만 사용하는 사람, 분야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가장 광의의 정의는 「인생을 구성하는 일련의 일어난 일이며 자기발달 속에서 노동에의 개인의 관여로서 표현되는 직업과 인생의 다른 역할의 연쇄이다」(Super. D. E). 이것은 조직 내에 한정시켜「외면적, 내면적으로 개인의 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계급 또는 계급의 세트이다.(Shine E. H)등의 정의가 있다. 공통적 기본개념은 아래와 같다.
①상승적인 업무 이동이어야 할 것
②개인의 생애에 걸쳐서 계속되어야 할 것
③그 개인에게 걸 맞는 인간적 성장이나 자기실현이 포함되어야 할 것
n What : 경력개발의 배경
경력개발의 원류(源流)의 하나는 직업지도이다. 보스턴에서 직업국을 설립하여 이민자들의 직업소개를 했던 퍼슨즈(Persons. F)는 「직업의 선택」이라는 책에서 뒤에 특성·인자 이론이라 불리우는 이론을 제창하였다. 그 후에 이 흐름은 하나는 미국의 학교교육 속에서「전문직업교육」20C 후반 1971년에는 당시의 교육장관 말랜드(Marland .S)에 의하여「경력교육」으로 발전했다. 다른 하나는 직업소개의 분야에 도입되어, 직업선택에 있어서의 자기이해, 직업이해, 직업상담 등의 직업지도의 기본이 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학교진로지도, 직업안정행정의 직업지도는 이것을 계승화한 것이다.
조직내에 경력형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CDP(Career Development Program)인데, 그 기본적 사고는 미국연방조직의 비능률성을 검토한 후버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그것을 바탕으로 삼아서 육국문관용 경력개발프로그램이다.
경력형성의 지원은
① 개인이 자기일은 자기가 결정하고 그것을 생애를 통해서 실현하는 것을 지원한다.(개인주도의 자기계발)
② 조직의 논리뿐만 아니라, 개인의 논리를 존중하여 조직관리를 수행할 것 (조직과 개인의 공생)
③ 학교, 행정, 기업, 지역사회 등이 제휴해서 계속적으로 아닌, 조직, 사회의 혁신을 촉진하는 것(사회적 촉진)
조직과 개인의 관개에 한해서 살펴본다면 종업원이 자기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여 경력을 형성 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조직의 목표가 달성되는 것이다. 기업은 이러한 목적에 부합될 수 있도록 HRM, 인사, 노무관리를 실시하고 종업원은 그것을 활용하여 자기계발을 꽤 함으로서 개인과 조직의 양쪽이 효과를 받게 된다.
개인이 받는 효과 |
조직인 받는 효과 |
일을 잘 할 수 있게 된다. (Work Performance) |
조직목표를 달성시킨다. (Goal Attainment) |
적응능력을 획득한다. (Adaptability) |
종업원이 조직에 적응하게 된다 (Adaptability) |
일에 대한 적극적 태도를 획득한다. (Positive Attitude toward Career) |
업무 역할에 종업원을 통합시킨다. (Integration of people into work roles) |
자기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Sence of identity) |
조직문화를 유지한다. (Cultural pattern maintenance |
주 : Hall .D .H의 참조하여 요약 |
n How : 어떻게 전개해 나갈 것인가
경력형성이라는 관점에서 기업의 인재육성, 인사, 노무관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혁신이 요청되고 있다.
①기업과 개인의 상호선택의 폭이 확대
②인사노무관리의 개별화 다양화
③기업내 능력주의로부터 사회 전재주의에의 전환
④직무를 중심으로 한 조직관리와 능력평가
⑤종업원의 경력형성, 자기개발의 지원, 가정·지역과의 공생
이런 것들의 방향은 이전부터 기업의 인사·노무관리면에서 이미 도입돼 왔지만 오늘날에 이르러 새삼 중요시하게 된 것은 그것은 종업원의 경력형성이라는 관점에 서서 또한 경영의 글로벌화, 정보화, 종업원의 고령화, 소수정예화 등의 현상에 비추어 근본 문제점을 발본적으로 혁신하여 개인과 조직의 공생을 도모하게 되었다. 또한 교육, 행정, 사회와의 제휴에 의하여 종업원의 경력형성을 지원하는데 있다.
n Check
☞ 경력지도 : 일반적으로 「개인이 적절한 경력을 결정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이며, 자기관리, 직업관리, 계발적 경험, 상담, 정책의 결정 및
follow-up의 6개 분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학교진학지도, 직업소개에 있어서의 직업지도, 기업의 Life-plan, 경력개발 워크삽 등 그 모두가 안내지침이다.
☞ 경력상담 : 일반적으로 「성인의 경력계획이나 진로의 선택, 결정 따위를 도와주고 경력개발을 추진하는 것을 전문영역으로 하는 상담」이며 치료보다는 개발적이며, 구체적 목표달성을 중요시하며 수법의 절충시이다. 진로 상담, 직업상담, 육성적 목표, 면접 등을 경력상담이라 한다.
☞ 직업핸드북 : 가장 대표적인 업무정보, 미국의OOH(Ocupational Outlook Handbook)를 참고로 해서 노동연구기구가 작성하고 있으며 매우 과학성이 높은 업무 정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