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이야기
IT감리의 개요
달팽이1
2008. 7. 25. 14:56
감리의 정의
정보시스템 감리와 함께 논의되는 주요 개념으로 「정보시스템 통제」와「소프트웨어 품질 보증」이 있습니다.
정보시스템 통제는 정보시스템의 기획, 개발, 운영, 유지보수 전반에 걸쳐 효과성, 효율성, 안전성 및 준거성에 반하는 위험을 예방하고 통제하는 수단을 확보할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품질보증은 품질속성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기능성, 신뢰성, 사용용이성,효율성, 유지보수성 및 이식성에 두고 이의 적정 수준 달성을 위한 검토 및 평가활동과 제품을 생산하는 절차인 프로세스의 개선에 촛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정보시스템 감리는 이러한 정보시스템 통제와 소프트웨어 품질보증 관련 개념을 포괄적으로 수용하여 정보시스템의 효과성, 효율성 및 안전성을 증진시키고, 정보기술의 활용에 따르는 각종 위험 및 통제상태를 객관적인 입장에서 종합적으로 점검·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상별 감리 역할과 효과
http://www.itall.net/biz/biz01_a.html
정보시스템 감리와 함께 논의되는 주요 개념으로 「정보시스템 통제」와「소프트웨어 품질 보증」이 있습니다.
정보시스템 통제는 정보시스템의 기획, 개발, 운영, 유지보수 전반에 걸쳐 효과성, 효율성, 안전성 및 준거성에 반하는 위험을 예방하고 통제하는 수단을 확보할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품질보증은 품질속성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기능성, 신뢰성, 사용용이성,효율성, 유지보수성 및 이식성에 두고 이의 적정 수준 달성을 위한 검토 및 평가활동과 제품을 생산하는 절차인 프로세스의 개선에 촛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정보시스템 감리는 이러한 정보시스템 통제와 소프트웨어 품질보증 관련 개념을 포괄적으로 수용하여 정보시스템의 효과성, 효율성 및 안전성을 증진시키고, 정보기술의 활용에 따르는 각종 위험 및 통제상태를 객관적인 입장에서 종합적으로 점검·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보시스템 감리기준에 의한 정의
정보통신부고시제 1999-104호 : 정보시스템 감리기준(1999.12.22)
“감리”라 함은 감리대상으로부터 독립된 감리인이 정보시스템의 효율성, 효과성 및 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정보시스템의 구축.운영에 관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점검.평가하고 감리의뢰인 및 피감리인에게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권고하는 것을 말한다.
감리의 필요성
정보화 수준의 향상과 국가 정보화 사업의 추진 등으로 정보시스템에 대한 의존도는 점점 심화되는 반면, 소프트웨어 개발 실패나 컴퓨터 사고 등으로 정보시스템의 안전성, 효율성, 효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과 문제들을 사전에 예방하고 통제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는데, 정보시스템 감리는 정보화 추진의 방향, 정보시스템 개발 및 운영상의 효율성, 데이터의 신뢰성 및 안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정보화 추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사전에 예방하는 필수적인 수단으로 그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