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가치보다 자신의 적성에 맞는 경력개발이라야 성공합니다.
시장가치에 따른 직업선택 보다
자신의 적성을 먼저 고려해야 만족합니다.
근래 경력상담을 진행하면서, 일반적으로 직업을 선택하는 과정 중 많은 이들이 미래에 인기있는 업종이이나 분야를 먼저 선호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불확실성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경험하기 전에는 다들 그러한 선택이 최선의 길인 것 처럼 생각을 하게 된다. 가장 먼저 시작이 좋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당대에 시선이 집중되는 직업을 갖고 생활하다 보면 웬지 모를 우월감으로 어느 기간 정도는 만족감을 누릴 수 있다.
하지만, 인생은 몇 년으로 마무리 되는 단거리 경주가 아니다. 늘, 인생은 장거리 경주라고 알고는 있지만 직업을 선택할 때 충분히 고려가 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궁극적으로 보면, 시장에서 각광을 받는 직업보다는 중.장기적으로 볼때 자신의 적성에 맞는 것 그리고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직업으로 선택해야 성공할 수 있다.
우리의 삶은 엄청난 굴곡을 갖고 있다. 평탄한 도로를 달리는 것 같기도 하다가 어느 순간에 자갈길로 바뀌기도 하고 또, 어떠한 때는 좁은 소로가 되기도 한다. 탄탄대로를 달릴때야 어떠한 직업에 몸담고 있던 만족스러울 것이다. 정작 중요한 것은, 초라해 보이는 시기나 어려움을 맞닥뜨리게 되었을 때라 하겠다. 이러한 시기에 유행을 �아 직업을 선택한 경우라면 금새 자신의 선택을 원망하게 될 것이다. 선택의 기준이 시장에 있으니 시장 상황이 좋아 지지 않거나 악화되면 당연히 자신을 책망하면서 불행해 지기 마련이다. 그렇지만, 스스로 좋아 하는 일을 하고 있다면 어떠한 굴곡에서도 육체적으로 힘은 들 수 있겠지만 한 없는 행복감은 지속해 나갈 수 있다. 더욱 어려운 상황에 놓일 수록 좋아하거나 적성에 맞는 일을 하는 경우에는 능히 이를 극복해 낼 내재된 에너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더욱 몰입하고 잘 하려고 하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경력개발을 설계할 때에는 시장상황에 너무 많은 비중을 두기 보다는 정말로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가를 발견하려는 노력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야 한다. 인간은, 수시로 변덕장이가 되기 때문에 어떠한 선택을 하더라도 결국에 가서는 한 번 이상의 후회를 하기 마련이다. 때문에, 이러한 부침이 심한 인간의 심리에도 불구하고 스스로가 즐길 수 있는 것이라면 바로 기분을 전환할 수가 있고 집중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좋아하는 일을 하고 싶지만, 어디 그게 쉬운가? 라는 말도 많이 듣게 된다. 그러나, 그것은 핑게에 불과하다. 정작 중요한 것은 자신이 정말로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가라는 고민이 부족한 상태에서 막연하게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이 행복하다더라 하고 동경만 하기 때문이다. 결국, 스스로 해답을 찾지 못한 상태에서 현재의 굴레를 쉽게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인 모습이다.
평생동안 경력개발을 해야 하는 요즘, 이제는 일모작이 아닌 다모작이 되어야 한다고들 말한다. 이미 시대의 변화 속도가 그 만큼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때문에, 이제 우리는 성공적인 경력개발을 위해서는 과거 대입 합격을 위해 그리고 직장에 보다 수월하게 들어가기 위해 선택하던 방식에서 과감이 벗어나야 한다. 그래야만, 10년, 20년 후에도 해당분야에서 나름대로의 경쟁력을 구비한 인생의 주인공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경력개발에 많은 관심과 연구를 하고 있는 류구희소장(한국인재경영연구소)은 "기업에서도 조직의 성과를 위해서 그리고 구성원과의 긴밀한 신뢰관계 구축을 위해서는 보다 솔직한 입장에서의 경력개발 지원에 나서야 합니다. 솔직한 경력개발 지원이라 함은 개인의 흥미도, 적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함을 의미합니다. " 라는 제언을 하고 있다. 실제,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막연하게 달려만 간다면 조직이나 개인 모두에게 득이 될 것이 없다.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스스로의 특질과 적성을 조직으로 부터 충분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무엇이 모두에게 득이 될 것인가를 결론내는 것은 그리 어려워 보이지만 않는다.
개인의 입장에서 이제 더욱 경력개발에 높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시대에, 현명한 결론을 위해서 더욱 많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무엇이 내가 좋아하는 일인가를 찾아내는 노력이 이제 경력의 성공여부를 결정짓는다는 것을 함께 공감하고 실행으로 옮겨 갔으면 싶다.
(c) 한국인재경영연구소
[출처] 시장가치보다 자신의 적성에 맞는 경력개발이라야 성공합니다.|작성자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