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영&지식관리

연구개발의 특성과 지식관리

달팽이1 2009. 11. 6. 02:51

□ 연구개발의 특성과 지식관리


  연구활동이 이루어지는 물리적 혹은 논리적 공간으로서 연구소는 새로운 지식이라는 제품을 창출하기 위해 연구원이라는 지식전문가를 통해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그 결과인 연구성과가 지식이라는 형태로 축적되고 활용된다.

  따라서 연구활동은 그 프로세스 자체가 지식관리의 틀 속에서 진행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최희윤, 2005)

[표 5)] 일반적 지식과 연구소 지식 개념의 비교

일반적 지식의 개념

연구소 지식의 개념

․경험을 통한 “노하우(Know-how)

․행위의 모티브를 제공

․경험에 의해 활용가능한 정제되어진 정보

․인력과 시간, 비용이 투자되어 산출되는 기업 및 조직의 지식자산

․연구산출물

․연구수행 중 습득한 연구 노하우

․연구진행 프로세스 자체

․연구개발 비용이 투자되어 산출되는 연구조직의 지식자산

자료 : 최희윤, 연구프로세스 기반 지식관리 프레임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vol36 No2, 2005, 77쪽.


  연구개발의 목적은 사업부 및 기업전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며, 연구개발은 기업 내의 타 부문과의 상호의존적 조직체계로 통합되어 기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공헌하여야 한다. 이러한 연구개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개발 관리가 필요하게 되는 연구개발 관리의 정의는 효율적 기술개발과 연구과정 관리라는 미시적․경제학적 정의에서 연구 결과 활용, 정보관리, 기술확산과 같은 형태과학적 관점 및 연구와 기술혁신에 대한 목표설정과 같은 경영학적 관점을 포함한 개념으로 발전하게 되었다(이진주, 1999).


  연구개발 관리는 크게 연구과제 관리, 연구인력 관리, 연구조직 관리, 연구정보 관리, 연구자원관리, 연구전략 관리로 나누어지며, 효율적인 연구개발 관리를 위해 연구개발 활동의 특성과 시사점을 다음 과 같이 나누었다(배종태, 1998)

  ① 연구개발 활동은 불확실성이 크고 프로젝트 단위로 수행된다. 따라서 불확실성에 잘 대응할 수 있도록 연구인력 및 연구과제 대한 엄격한 통제를 피하고 유연성을 가져야 하며, 최고경영자는 모험가적인 진취적 경영철학을 가져야 한다.

  ② 연구개발 활동은 대규모투자가 필요하고 투자회수기간 (Payback Period)이 길다. 그러므로 장기적 안목에서 경영전략과 기술전력에 기반을 두어야 하며, 연구개발 활동에 적합한 관리체계와 기준에 의해 평가․관리되어야 한다.

  ③ 연구개발 활동은 기초연구, 응용연구, 개발의 단계를 따른다. 연구개발 과제를 유형으로 구분하여 유형별로 별도의 방식으로 관리해야 하며, 각 단계가 끝날 때마다 중간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④ 연구개발 과제, 특히 대형과제는 상호 의존적이다. 따라서 연구관리자는 연구개발 계획이나 과제선정에서 연구개발 과제들 간의 상호관계를 체계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기업의 내․외부와의 커뮤니케이션 촉진이 필요하다.

   ⑤ 경우에 따라서 연구개발 결과에 우연성(Serendipity)이 개입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연구자들에게 일정 한도의 유연성과 자율성을 제공하여야 하며 특정 분야에서의 연구개발 결과를 다른 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연구개발부서에서 지식경영이론으로는 연구개발 활동에서 지식의 변환 과정을 지식사이클로 정의하고 이를 촉진시키는 조직적 인프라와 지식을 생성, 공유, 축적, 활용을 지원하는 정보기슬 인프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김진태, 2003)

[표 6)] 연구개발 부분의 지식획득 방법

지식획득의 단위

암  묵  지

형식지

획득 방법

인지적 면

방법적 면

개인

도식, 관점

숙련 노하우

개인 DB, 메모

사색, 행동, 반성

집단

집단 규범

팀웍

집단 DB, 파일

대화, 관찰, 모방

조직

조직문화

기술

특허, 매뉴얼

매뉴얼, 순환보직

조직간

집단규범

기업그룹의 기술

기업그룹의 특허

제휴, M&A 등

자료 : 김형동, 노나카의 지식 창조의 경영, 21세기 북스, 1995, 315쪽


  첫째는 프로세스로 지식의 획득, 창조, 축적, 활용의 과정을 지식 사이클이라고 정의하고 끊임없이 조직의 가치증대를 위한 상호순환 프로세스로서의 혁신과정을 필요로 한다.

  연구개발 부문에서 지식의 획득은 내부 및 외부의 다양한 지식 획득 소스 및 채널에 의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내부소스인데 형식지는 주로 개인 조직의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지식의 획득이고 암묵지는 내부 연구원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지식의 획득이 이루어진다.

  ② 외부소스인데 연구개발 활동과 관련된 전문 연구기관, 대학, 경쟁업체, 고객, 전문업체 등과의 교류 및 접촉을 통해 암묵지 및 형태지가 획득된다.

  ③ 비공식적 채널인데, 개인의 암묵지는 조직의 공식적 채널보다는 비공식적 채널인 연구원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지식의 획득이 촉진되어 연구원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자극한다.

  ④ 공식채널인데 회의, 세미나 및 심포지움, 학회 등의 공식적인 절차에 참여를 통해 지식을 획득하는 채널로 지식획득을 위한 접근은 용이하나 지식가치의 제약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둘째는 지식혁신을 위한 조직적 인프라인데 지식공유의 기업문화를 바탕으로 전략과 리더십, 조직구조, 지식 근로자, 평가시스템의 변화를 통해 지식 사이클이 보다 촉진 될 수 있도록 하며 기업이 궁극적 목표로 연계되어 지속적 혁신을 통한 경력한 경쟁우위를 확보하도록 한다.


  셋째, 기술적 인프라인데 네트워크 협업시스템(collaborative system), 데이터베이스 등의 어플리케이션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통해 지식의 사이클을 위한 중요한 도구를 제공하여 지식의 흐름을 촉진한다.


  특히,  연구개발 부문에서 지식의 획득은 내부 및 외부의 다양한 지식 획득 소스 및 채널에 의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표 7)] 연구개발 부분의 지식사이클과 지식활용

지식사이클

주요내용

정보기술활용

지식획득

내부 및 외부 지식획득 채널의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화, 프로젝트보고서, 서적, 전문연구기관, 전문업체 등

데이터베이스 지식링크

지식창조

프로젝트팀내의 협업을 통해 창조된 지식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 실험데이터, 분석결과, 노하우 문서 등

협업시스템, 엔지니어링데이터베이스

지식축적

연구개발 활동의 결과를 재활용을 위해 구조화하여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거나 개인의 지식을 축적하는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개인홈피

지식활용

획득, 축적된 지식을 실제 연구개발 활동에 활용하는 지식으로 프로겍트보고서, 기술표준,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 등

데이터베이스, 내외부 지식네트워크

자료 : 김진태, 2003.7 R&D부문의 지식경영 모형 연구, 38쪽





  연구개발 부문에서의 지식 획득과정은 업무프로세스의 과정과 같이 부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식관리를 위한 출연연의 지식관리의 성과지표는 이와 같이 업무프로세스와 지식관리의 프로세스가 상호 연계되어 부합하는가도 매우 중요한 평가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변화하는 시장지식 및 기술지식을 공유․질의응답․토론 할 수 있고, 내․외부 인적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느냐 하는 것은 출연연의 중요한  성과지표로서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표 8)] 연구개발부분의 선행연구

연구 분야

연  구  자

지식경영 모형

김진태(2003)

지식경영의 도입 및 성과

장재량(2000), 김중현(2000), 김상수(2000), 최만기(2001),

연구개발부문의 CoP

박보혜(2005)

영향요인

한상우(2004)

성과측정 

권희영(1999), 김창호(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