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영의 정의 및 이해
□ 지식경영의 정의 및 이해
지식경영은 일반적으로 ‘조직 내외부에서의 지식창출, 지식저장, 지식공유 및 지식활용 등 지식관련 활동의 집함체’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지식경영을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보면, 조직지식을 자원적 관점에서 단순히 창출, 저장, 공유, 활용하는 관리 프로세스가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조직의 제품 또는 서비스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거나 부가함으로써 경쟁우위를 확보한다는 전력적인 목적이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직의 경쟁우위 원천을 연구하는 자원기반 관점 이론에 의하면, 급변하는 기술반전과 시장화경, 그리고 다양한 고객요구로 대변되는 “초경쟁환경(Hypercompetition)하에서는 조직의 경쟁우위가 제품이나 서비스에 가치를 창출 또는 부가하기 위한 생산적인 과제(Productive tasks)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조직능력(Organizational Capability)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는 것이다(Grant 1996). 여기서 ‘능력(Capability)'이라는 용어는 변화하는 환경에서 시장의 요구사항들을 맞추기 위해 조직 내외부의 전략적 자원이나 경쟁요소(Competency)를 변화시키고, 조직 전 분야에 걸쳐 통합하며, 시장상황에 따라 재조합하는 경영의 전략적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Teece 1993). 또한, 학습노직과 지식경영의 연구 분야에서는 조직의 경쟁원천이 조직지식에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는 경영활동의 중요성을 주장하고 있다(Wiig, 1997). 즉, 변화하는 환경ㅎ에서는 조직의 핵심 전략자원이 지식이고 이러한 핵심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경영이 경쟁우위의 근원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조직의 경쟁력은 환경변화에 따라 필요한 조직지식을 창출시키고, 조직 내부에 저장하며, 이를 조직 구성원간에 공유하여, 조직의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를 부가하거나 창출하는 일련의 활동들의 집합인 프로세스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식경영은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 인적자원, 조직 및 기술 인프라, 프로세스 등의 주요 구성요소를 형성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제품과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제반활동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식경영은 지식을 조직의 자원으로 관리하는 단순한 프로세스가 아니라, 조직의 핵심 경쟁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여러 조직관리 구성요소가 복합적으로 연계된 전략적 관리체계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이장환․김영걸 (1999). 조직의 지식경영 관리체계 및 단계모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매경지식경영학술 심포지움
Grant R.M(1996), "Prospering in Dynamic-competitive Environment Organizational Capability as Knowledge Integration", Organization Science, Vol 7, No 4, 375~386
Teece D. J., Pisano G., and Shuen A(1997), "Dynamic Capabilities and Strategic Management.",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14, 179~191
Wiig K.M (1997), "Supporting Knowledge Management:A Selection Methods and Technique.", Expert System with Application, Vol 3, no 1, 1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