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SC

BSC 성과지표(KPI) 개발방법론

달팽이1 2008. 6. 10. 23:54

BSC에 있어서 성과지표(KPI)는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성과지표가 성과평가의 핵심요소일 뿐만 아니라, 성과지표가 얼마나 잘 선택되느냐에 따라 실질적인 경영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BSC 성과지표는 전사성과지표, 부서성과지표, 그리고 개인성과지표로 나누어 집니다. 전사지표는  회사 VISION 및 MISSION,  4대관점별 핵심전략,  그리고 전략목표에 맞게 개발되어야 하며, 부서지표는 전사의 전략체계에 따라 개발되어야 합니다. 한편 개인 지표는 부서에 배정된 성과 지표를 부서장 책임하에 업무성격별로 배분하는 형태로 이루어 집니다.

 

그럼 질문하신  BSC 성과지표(KPI) 개발 방법론을 저희 회사가 직접 공기업 및 사기업에 컨설팅 했던 사례를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효과적인 BSC 성과지표(KPI) 개발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회사에 대한 정확한 경영종합진단을 통해 SWOT분석을 하고, 이런 SWOT분석

결과 중 강점과 기회요소를 더욱 강화시키기 위한 지표는 무엇인지, 그리고 약점과 위협요소를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지표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파악하여 이를 지표개발에 활용하여야 합니다.

 

둘째, 우리 회사의 VISION, 핵심성공요인, 전략목표와 부합된 STRATEGY  MAP를 개발해야 합니다. Strategy Map 예는  첨부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셋째, 성과평가팀 또는 컨설팅사를 통해서 전사 및 부서 성과지표 초안을 개발해야 합니다.

 

넷째, BSC개발을 위한 타스크 포스팀, 또는 전직원을 대상으로 워크샵을 통해 전사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내부 품의절차를 통해 확정합니다.

 

다섯째, 전사지표가  확정되면 이를 토대로 각 부서 성격에 맞는 지표를 전사지표 개발과 같은 방법으로 워크샵을 통해 지표를 개발하고, 내부 품의를 거쳐 확정합니다.

 

여섯째, 개인 지표는 전사, 부서성과지표가 확정된 후 부서장 책임하에 부서 직원 중 담당업무 등을 고려하여 각 직원에게 지표를 배분하는 형태로 이루어 집니다.

 

일곱째, 이렇게 결정된 지표는 계속 사용하느 것이 아니라,  평가기간별로 평가를 실시한 후 보완, 개선을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수정보완함으로써 계속 업그레이드 해 가야합니다.

 

이상으로 간단하게 지표개발 방법론을 설명드렸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라며, 좀더 자세한 사항은 아래 메일 주서로 추가 질문해 주시든지,직접 저희 회사에 방문하여 문의해 주시면  저희 전문컨설턴트들이 자세한 안내를 해드릴 것입니

다. 감사합니다.

 

출처 : 시스템경영혁신만이 살길이다. / 박주관 지음 / M전략시스템 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