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A

IT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정보기술아키텍처(ITA)'

달팽이1 2008. 7. 25. 15:12
[ IT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정보기술아키텍처(ITA)' ]
==============================================================================
정보화전략계획(ISP)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대안으로 자리매김 중
정보화전략계획(ISP)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대안으로 자리매김 중  정보전략계획(ISP,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은 정보시스템을 개발하기 전에 정보화를 위한 올바른
방향 제시를 위해 수행된다. 하지만 여러 가지 드러난 문제점들은 극복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를 극복하고자 등장한 ITA는 단순한 정보기술의 유행이 아니다.이는 현재
미국에서 검증이 끝나고  산업 전반에 확산 중인 현 정보기술 체제의 문제점을 해결하
고 ISP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기술 패러다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론에서는 ITA의 개요와 특징 및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ITA의 출발지인 미국의 추진
현황과 국내의 움직임을 살펴보도록 한다. 
ITA의 개요
정보화 시대가 본격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정보기술은  국가 생존을 위한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 정보기술아키텍처(ITA)는 조직의 정보기술을 통합,관리하기 위해 정보체계
에 대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상호운용성 및 보안성을 보장하기 위해 조직의 업무,
사용되는 정보,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기술 등의 구성요소를 분석한 후, 이들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정리한 체계이다. 
ITA는 크게 전사적아키텍처,기술참조모델,표준프로파일의 3가지 기본요소로 구성되며,
각 부문들은 정보기술의 구체적인 적용을 위한 세부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ITA는 조
직의 목적 달성을 위한 구체적 시행 기준과 ITA의 지속적인 관리,갱신,평가를 위한 사
항들을 포함하고 있다. 
미예산관리국에서는 "ITA는 조직의 전략적 목표와 정보자원관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정보기술을 획득하고 기존 정보기술을 유지, 진화하기 위한 통합된 프레임워크
다" 라고 정의를 내리고 있다. 국가 정보화에 관한 선도적인 입장에 있는 미국은 1995
년부터 기관이나 조직의 정보기술을 통합·관리하기 위한 ITA를 수립해 활용하고 있다.
또한 민간부문에서도 정보자원관리, 정보시스템간의 호환성 확보, 정보기술의 관리 등
을 위해 전사적 정보아키텍처(EIA: Enterprise Information Architecture)를 도입하고
있다.
ITA의 특징
ITA의 특징은 진화와 상호운용성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눌 수 있다. 즉 "ITA는 진
화를 통해 발전되는 정보통신 기술과 변화되는 비즈니스 로직을 수용하고  상호운용성
을 향상한다"는 것이다.
ITA의 구축,관리 과정은 먼저 ITA 구축을 위해 정보기술의 전략적 방향과 기준이 되는
원칙을 수립하고 현재의 정보기술 체계의 상태, 기술 요소 등을 식별하고 정의해 현재
모습(AS-IS) 상태를 파악한 후  기업이나 기관이 목표로 하는 미래의 ITA를 정의한다.
정의된 ITA를 구축하기 위해  현 상태와 미래의 모습과의 격차 분석을 통해 전환 계획
을 수립하고 목표 ITA의 완성을 위한 프로젝트를 식별한 후,  식별된 프로젝트에 대한
비용 및 일정 등의 구현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구현 계획에 따라 목표한 ITA가 완성된 후에는 아키텍처의 관리에 들어가게 되고 시스
템 간의 상호운용성은  정보기술 요소의 체계적인 분류와 표준과의 매핑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구를 사용해 모든 산출물을 관리함으로써 정보기술 및 비즈니스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ITA로 진화할 수 있다.
ITA의 구성 요소
ITA는 정보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상호운용성, 이식성, 확장성, 보안성
을 보장하기 위해 조직의 임무,사용되는 정보 및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기술 등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정리한 체계로 모든 정보 프로세
스를 지원하는 요소들 간의 관계가 구조화된 집합으로써 EA와 TRM, SP로 구성된다. 
EA는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Enterprise Architecture)로써 '전사적 아키텍처'라고 하
며, 기업이나 기관에서 사용되는 업무 및 관리 프로세스와 정보기술 간의 관계를 표현
한 것이다. TRM 즉,기술참조모델(Technical Reference Model)은 업무분석을 통한 비즈
니스 아키텍처를 지원하는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 등 기술 요소들에 대한 기준이 되는
기술분류 체계를 수립한다. SP 즉, 표준프로파일(Standards Profiles)은 TRM에서 분류
정의된 기술 요소에 대해 표준을 식별하고 매핑시킨 것을 의미한다.
① 전사적 구조 (EA, Enterprise Architecture)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는 업무분석을 통한 업무 영역과 정보 영역,애플리케이션 영역,
데이터 영역, 기술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업무 영역이란 비즈니스 조직구성과 비즈
니스 기능을 분석하고 구조화한 것이며,  정보 영역은 업무에서 사용되는 모든 정보들
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영역은 이러한 업무들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에 구축됐거나 구축될 애플리케이션들을 정의하며,데이터 영역에서는 애플리
케이션에서 사용될 물리적인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한편 기술 영역은 이러한 모든
영역을 실현시키기 위한 기술적인 요소들을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의 프레임워크는 적용하는 기업이나 조직에 따라 형태의
변화나 구성의 변화는 달라질 수 있으나 의미상의 큰 변화는 없다.
미국의  국가표준기술기구(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는
전사적 구조를 "조직에 사용되는 정보기술을 활용한 아키텍처와 시스템들을 총괄한 것
으로,업무 및 관리 프로세스와 정보기술 간의 관계를 표현한 청사진 또는 설명"이라고
정의했다.
그림 1과 같이 전사적 구조는 비즈니스 업무, 정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인프라 등
총 5개의 레이어로 구성되며,  정보와 정보기술 구조의 통합된 집합을 조직, 계획하고
수립하는 데 사용된다.
전사적 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 및 평가도구인 프레임워크는  관점에 따라 전사적(
미국 연방정부) 구조 관점의 FEAF (Federal Enterprise Architecture Framework),TEAF
(Treasury Enterprise Architecture Framework)가 있으며,  체계적 구조 관점의 C4ISR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자크만(Zachman) 프레임워크, 인덱스 프레임워크가 있다.
EAP(Enterprise Architecture Planning) 또는 ITA의 개념의 모태가 되며, 논리적 구조
를 제공하는 자크만 프레임워크는  1987년 존 에이 자크만에 의해  IBM의 기술 저널에
발표됐다. 처음에는 3 바이 3으로 발표됐다가 1992년에 이르러 현재의 30개의 셀을 갖
춘 모습으로 확장됐다.
자크만 프레임워크는 조직의 정보체계에 대한 관리 및 기술적인 설명을 분류하고 조직
화하며,진행상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기본 프레임 역할과 아키텍처 수
립·구축 후 평가를 위한 컨트롤 판넬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자크만 프레임워크는
가로 여섯 개,세로 다섯 개의 셀로 구성되며, 세로 열은 스코프(Scope, 계획자), 엔터
프라이즈(소유자·경영진),시스템(설계자),기술(개발자),컴포넌트(구축자) 등의 관점에
서 분류됐다.  한편 가로 열은 각 관점에 대한 구성 요소로 육하원칙에 해당하는 데이
터, 기능, 네트워크, 인원, 시간, 동기부여로 구성돼 있다.
각 30개의 셀은 EAP 또는 ITA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출물에 의해서 모든 셀
은 채워지게 된다.
전사적 구조(EA)를 구축하기 위한 접근 방법으로 전사적구조계획수립(EAP)이 있다.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EAP는 7단계로 구성돼 있으며, 전사적 차원에서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응용,기술 구조에 대해 현재의 모습(AS-IS)과 미래의 모습(TO-BE),그리고
이행 계획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② 기술참조모델 (TRM, Technical Reference Model)
기술참조모델은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참조가 되는 기본(기준)정보기술 모
델을 의미한다.  즉 구체적으로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기술과 이를 추상화한 정보
기술 서비스구조로,구성요소 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한 기술분류 체계를 말한다. 구축
목적으로는 공통된 또는 기준이 되는 정보기술 분류 체계인 정보기술 프레임워크를 확
보함으로써 기관의 정보체계 내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한 획득, 개발, 지원을 조정하
고 통제함에 있다.
TRM의 분류 및 구성의 기본은 POSIX 1003.0을 따르나 그 구성요소 및 기술서비스 분류
와 세부 분류는 각 기업이나 조직의 업무 특성 및 시스템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미 국방성의 경우 그림 3과 같이 응용 플랫폼 엔티티를 소프트웨어 공학서비스,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비스,데이터관리 서비스,데이터교환 서비스,그래픽 서비스,통신 서비스, 
운영체계 서비스,국제화 서비스,보안 서비스, 체계관리 서비스, 분산컴퓨팅 서비스 등 
11개의 서비스로 분류해 정의하고 있다.
③ 표준프로파일(SP, Standards Profiles)
표준프로파일은 기술참조모델에 식별한 정보서비스를 지원하는  정보기술 표준들의 집
합이다. 프로파일은 표준의 목적을 충족하고  특정 업무 기능에 제공되는 기술을 지원
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기준을 수립한 것으로써 운영체계, 네트워크, 데이터 교환
과 같은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 표준들을 다루는 상세 규격을 포함한다. 
표준프로파일은 기술참조모델과 함께 기업의 업무 요구사항에 맞는 표준화된 시스템의
개발과 획득을 가능하게 하며,프로파일에는 구현한 구체적인 제품까지도 지정할 수 있
다. 프로파일은 기술의 발전,환경, 기업의 목적 등에 따라 바뀔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갱신을 위한 지침 및 기준이 있어야 한다.
ITA의 추진현황
미국에서는 1995년 클린턴 행정부에 의해  문서감축법이 실시되면서  정보자원 관리가
시작됐다.
1996년 미 예산관리국에 의해 발표된 정보기술관리개선법(ITMRA)에는  CIO(최고정보책
임관)제도를 명시하고 있으며,CIO는 ITA를 구축해야 한다는 책임을 명시함으로써 미국
내에서 ITA 활성화의 시발점이 되었다.1997년 발표된 OMB Circular A-130에서는 ITA가
EA, TRM, SP 구성되어 있으며, ITA 구축 시 기대 효과에 대해 명확하게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법적 제도적인 영향으로 1997년 미 국방성과 농무성,재무성은 ITA를 구
축했으며, 1998년 에너지성도 ITA를 구축했고,  미국 내의 다국적 기업들도 앞 다투어
ITA를 구축하고 있는 실정이다. 메타그룹에 따르면,2004년 내에 미국 내 2천개의 글로
벌 기업 중 60%의 기업은  통합되고 잘 관리되며  발전된 전사적 아키텍처를 구축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1995년 정보화촉진기본법을 제정해 정보통신 산업의 기반 조성 및 고도화
를 촉진시켰으며,1996년 국방정보체계관리규정이 발표돼 국방정보화 촉진 및 국방정보
체계사업의 시발점이 됐다. 또한 국방정보자원 관리지침이 발표돼 국방정보자원관리모
형이 제시되었고, 통합 정보체계를 위한 환경을 조성하게 됐다. 
이후 1998년 전자정부 구축을 목적으로 한 행정기관의 정보화책임관 지정,운영에 관한
지침을 대통령 훈령으로 공포해 기술정보 체계 및 관리 체계 수립을 위한 기반은 마련
했다.하지만 정보화책임관의 책임 및 역할을 명시하지 않아 지금까지 ITA 활성화 정도
는 미흡한 게 현실이다. 국내의 경우는 2001년 한국SI연구조합 산하 기관으로 한국ITA
협의회의 창설과 더불어 ITA가 태동했다고 볼 수 있다. 
각 산업별 ITA 추진동향은,공공부문의 경우 법적 제도적 지침의 미흡으로 아직 구체적
인 움직임은 없다. 그러나 한국전산원에서는 1999년 12월 '정보기술 아키텍처 수립 및
표준적용에 관한 연구'를 발행하는 등 정보화표준부에서 정보기술표준 수립 작업을 추
진 중에 있으며, 범용적인 ITA에 대한 연구자료 및 기술자료가 발표되고 있다. 
한편 국방부문에서는 1998년 이후의 사업은 ITA 개념을 도입해 추진 중이다. 또 미 국
방부의 C4ISR 아키텍처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국방정보체계 기술구조를 구축 중이며,전
체 군 체계통합이라는 측면에서 ITA 도입이 가속화될 전망으로 보인다.
ITA의 기대효과 
ITA가 구축되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가 발생한다.
첫째, 효율적인 정보기술 자산관리를 할 수 있다.  정보는 비즈니스에 있어서 가장 중
요한 자산의 요소가 됐으며, 이러한 정보의 관리는 비즈니스 성공의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다.
둘째,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변화 및  기술 변화에 대한 융통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정보기술 체계 또한 비즈니스 변화나 기술 변화에 대응해 진화해 나가기 때문에  모든
변화 상황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다.
셋째, 정보 투자에 대한 투자 효과가 극대화되며  향후 투자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재설계 및 재구축이 극소화되고 시스템들의 상호운용성 향상으로 무
분별한 시스템의 개발이 억제되며, 시스템의 재사용률이 증대돼 정보투자 대비 효과가
극대화 될 것이다.

'I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A 주요용어  (0) 2008.07.29
ITA 도입과 정보시스템 감리에 대한 소고  (0) 2008.07.29
ITA성공하려면-정보기술아키텍쳐  (0) 2008.07.25
전사적 ITA 구축과 DA의 10가지 활용법  (0) 2008.07.19
ITA 유형 / ITA 개발  (0) 2008.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