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된소리 : 우리말의 된소리 와 예사소리 는 변별력을 가지므로 반드시 구별해야 합니다. 특히 방언이나 은어나 속어에서 예사소리를 된소리로 쓸 때가 많아서 틀린 말을 바른 말로 잘못 인식하는 예가 부쩍 늘었습니다. 따라서 평소 정확하게 발음하는 언어 습관을 익히지 않으면 '산뜻하다' 가 바른 말인지 '산듯하다' 가 바른 말인지 제대로 가릴 수 없을 때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한글 맞춤법을 참고로 된소리로 표기해야 할 단어와 예사소리로 표기할 단어에 대해 알아 봅니다
깍뚜기(×) → 깍두기(○)
납짝하다(×)→ 납작하다(○)
뚝빼기(×) → 뚝배기(○)
곱빼기(×) → 곱빼기(○)
말숙하다(×) → 말쑥하다(○)
멋적어(×) → 멋쩍다(○)
법썩(×) → 법석(○)
싹똑싹독, 싹뚝싹뚝(×) → 싹둑싹둑(○)
짭잘하다(×) → 짭짤하다(○)
짧막하다(×) → 짤막하다(○)
2) 구개음화 : 끝소리가 /ㄷ,ㅌ/인 형태소가 모음 /ㅣ/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그 /ㄷ,ㅌ/이 구개음(입천장소리)/ㅈ,ㅊ/이 되는데, 구개음화는 모음 /ㅣ/때문에 일어나는 동화현상의 하나입니다. 말할 때는 구개음화된 것을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만, 글로 쓸 때에는 원형을 밝혀 적습니다.
가치(×) → 같이(○)
거치다(×) →걷히다(○)
낱낱히, 낱나치(×) → 낱낱이(○)
무치다(×) → 묻히다(○)
달마지(×) → 달맞이(○)
3)두음법칙 : 누구나 이와 같은 말을 쓸 때, '율'과 '률'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할 지 한 번쯤 고민합니다. 그 외에도 '남여'로 써야 할 지 '남녀'로 써야 할 지 몰라서 혼동할 때가 많습니다. 'ㄴ, ㄹ, 음가 없는 ㅇ' 사이의 표기 혼란은 '두음 법칙'이라는 우리말 음운 규칙 때문에 생깁니다. 두음 법칙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한글 맞춤법에 상세하게 규정되어 있습니다. 여기서는 두음 법칙과 관련하여 자주 틀리는 단어의 예를 보고 익히도록 합니다.
고냉지(x) -> 고랭지(o)
당요병(x) -> 당뇨병(o)
명중율(x) -> 명중률(o)
미입자(x) -> 미립자(o)
분렬(x) -> 분열(o)
설립 연도(x) -> 설립 년도(○)
쌍용(x) -> 쌍룡(o)
외형율(x) -> 외형률(o)
전률(x) -> 전율(o)
졸열(x) -> 졸렬(o)
투고난(x) -> 투고란(o)
행열(x) -> 행렬(o)
4)겹쳐나는 소리 : 우리말은 발음과 표기 체계가 달라서 어떤 때는 소리나는 대로 쓰기도 하고 어떤 때는 발음과 달리 쓰기도 합니다. '쌉쌀한'이나 '짭짤한'과 같은 단어는 소리가 겹쳐 나는 대로 같은 글자로 적는 것이 어법에 맞습니다. 이에 해당하는 한글 맞춤법 조항과 비슷한 예를 알아 봅시다.
누루이(x) -> 누누이(o)
늠늠하다(x) -> 늠름하다(o)
똑닥똑닥(x) -> 똑딱똑딱(o)
민밋하다, 믿믿하다(x) -> 밋밋하다(o)
삽쌀하다, 쌉살하다(x) -> 쌉쌀하다(o)
쓱삭쓱삭(x) -> 쓱싹쓱싹(o)
열열하다(x) -> 열렬하다(o)
짭잘하다(x) -> 짭짤하다(o)
5)한자어 표기 : '諾'은 '승낙(承諾)'에서는 '낙' 으로 표기하고 '허락(許諾)'과 '쾌락(快諾)'에서는 '락' 으로 표기합니다. 이와 같이 몇몇 한자어는 '본음'과 '속음'이 특히 'ㄴ', 'ㄹ', '음가 없는 ㅇ' 음운에서 다르게 나므로 두음 법칙 [맞춤법 제 10, 11, 12항]이 적용된 한자어와 쉽게 구별하지 못하는 예도 있습니다. 또한 한자어 '십(十)'과 '팔(八)'은 '시월(十月)' 과 '초파일(初八日)'과 같이 받침소리가 다른 몇 가지 한자어는 특정한 음운이 끝소리에서 탈락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가정난(x)->가정란(o)
곤난(x) -> 곤란(o)
기념일(記念日)/기념일(紀念日)
沒廉恥(몰염치) / 破廉恥(파렴치)
승락(x) -> 승낙(o)
오유월(x) -> 오뉴월(o)
허락/승낙
6) 모음조화 : 두 음절 이상의 단어에서, 뒤 음절의 모음이 앞 음절 모음의 영향을 받아 아주 같거나 그에 가까운 성질의 모음이 어울리는 현상입니다. 쉽게 말해 'ㅏ', 'ㅗ' 따위의 양성 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ㅓ', 'ㅜ', 'ㅡ' 따위의 음성 모음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리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모음 조화 현상은 의성어나 의태어, 강조어, 어간과 어미 등에서 지켜지지만 현대 국어에서는 'ㅂ불규칙 용언'인 단어나 '깡총깡총', '꼬불꼬불' 등 모음 조화에 어긋난 예도 많습니다.
"곱다"는 "고와"로
"돕다"는 "도와"로
가까와(X)-> 가까워(O)
고마와(X)-> 고마워(O)
깡총깡총(X)-> 깡충깡충(O)
부주(X)-> 부조(O)
사둔(X)-> 사돈(O)
수고로왔다(X)-> 수고로웠다(O)
수고로왔다(X)-> 수고로웠다(O)
알록달록
비록 단풍이 물들기에는 조금 이른 시기였지만, 내 마음 속의 내장산은 단풍보다 더욱 알록달록한 곳으로 기억될 것이다. 한겨레신문 02.11.10.
얼룩덜룩
물이 닿으면 손상되고 검정, 갈색 등 염색된 제품은 색이 빠지면서 얼룩덜룩해진다. 드라이 클리닝이 유일한 방법이다. 한국일보 02.02.25.
하얘지다
노여움으로 낯빛이 하얘지다.
허예져서
갑작스럽게 다가선 불량배들의 협박에 그녀는 얼굴이 허예져서 그만 주저앉고 말았다.
7)울림/안울림 소리
우리말에서 준말 형태로 적을 때는 울림소리(유성음)와 안울림소리(무성음)를 구분해서 표기해야 하는 단어가 있습니다. 준말에서 '-하-'가 주는 경우인데 안울림소리 뒤에서는 '하'가 통째로 탈락하고 울림소리 뒤에서는 '하'의 'ㅏ'만 줍니다.
간단지(X)-> 간단치(O)
깨끗치(X)-> 깨끗지(O)
납득치(X)-> 납득지(O)
넉넉치(X)-> 넉넉지(O)
답답치(X)-> 답답지(O)
산뜻치(X)-> 산뜻지(O)
생각컨대(X)-> 생각건대(O)
생각타(X)-> 생각다(O)
섭섭치(X)-> 섭섭지(O)
익숙치(X)-> 익숙지(O)
탐탁치(X)-> 탐탁지(O)
훌륭지(X)-> 훌륭치(O)
자료 출처:우리말 배움터에서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맞춤법 (0) | 2008.07.26 |
---|---|
자주 틀리는 한글 맞춤법 사례 (0) | 2008.07.26 |
“대로”와 “데로”의 바로쓰기 (0) | 2008.07.19 |
맞다 / 맡다 / 맏다 (0) | 2008.07.19 |
엉망 / 진창 / 엉망진창 (0) | 2008.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