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A

ISP, EA, ITA의 개념과 차이

달팽이1 2008. 6. 10. 23:29
ISP:
1) 정보화 전략 기획(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경영 전략 달성과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최상의 업무 운영을 가능케 하는 바람직한 미래 업무를 설계한 후, 이의 효과적 지원을 위한 IT 측면에서의 정보전략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경영활동을 말합니다.
ISP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두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첫째, ISP는 정보기술을 바탕으로 한 경영전략수립이 가능하도록 해 주며. 정보화의 진전으로 정보기술의 효과적인 활용여부가 기업경쟁력의 원천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상황하에서 전략과 정보기술의 연계는 비전달성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조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ISP는 정보기술과 경영전략을 연계함으로써 비전 달성을 위한 전략계획이 제대로 수립될 수 있도록 합니다. 뿐만 아니라, 전략계획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통제하는 메카니즘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둘째, ISP는 정보시스템 구조에 대한 기본 틀을 제시해 줍니다.
2)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이용자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회사와 기관을 말합니다.

EA:
1) 일렉트로닉 아츠(Electronic Arts): 미국 캘리포니아 레드우드 시티에 본사를 두고 있는 게임 개발/유통 회사의 이름입니다.
2) 전사적 아키텍처(Enterprise Architecture): 기업의 비즈니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기술 등 주요 요건을 자산, 표준, 원칙, 모델 등의 기준에 따라 분석, 기업의 현재 모습을 조감하고 앞으로의 지침을 제시하는 프로그램 또는 전략을 말합니다.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는 업무분석을 통한 업무 영역과 정보 영역, 애플리케이션 영역, 데이터 영역, 기술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업무 영역이란 비즈니스 조직구성과 비즈니스 기능을 분석하고 구조화한 것이며,  정보 영역은 업무에서 사용되는 모든 정보들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영역은 이러한 업무들을 지원하기위해 기존에 구축됐거나 구축될 애플리케이션들을 정의하며,데이터 영역에서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될 물리적인 데이터 구조를 나타냅니다.  한편 기술 영역은 이러한 모든 영역을 실현시키기 위한 기술적인 요소들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미국  국가표준기술기구(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의 정의: "조직에 사용되는 정보기술을 활용한 아키텍처와 시스템들을 총괄한 것으로,업무 및 관리 프로세스와 정보기술 간의 관계를 표현한 청사진 또는 설명").
 
ITA: 정보기술 아키텍처(Information Architecture)
조직의 정보기술(컴퓨터 하드웨어, 데이터, 인적 자원, 정보통신장비, 소프트웨어, 관리책임 등)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 정보체계에 대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상호운용성 및 보안성을 보장하기 위해 조직의 업무, 사용되는 정보,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기술 등의 구성요소를 분석한 후, 이들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정리한 체계를 말합니다.
ITA는 크게 전사적아키텍처(EA), 기술참조모델, 표준프로파일의 3가지 기본요소로 구성되며, 각 부문들은 정보기술의 구체적인 적용을 위한 세부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또한 ITA는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한 구체적 시행 기준과 ITA의 지속적인 관리,갱신,평가를 위한 사항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미예산관리국의 정의: "ITA는 조직의 전략적 목표와 정보자원관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정보기술을 획득하고 기존 정보기술을 유지, 진화하기 위한 통합된 프레임워크이다.")
 
ITA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사이트에 잘 정리되어 있네요.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ISP와 EA의 차이라면 ISP는 특정 업무와 특정 구축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모델링을 제시하는 한시적인 것이지만 EA는 전사 차원의 변화 관리를 목적으로 실행 방향을 정하고, 꾸준히 내용을 개선해야 하는 프로그램이라는 것, 또 그 범위와 대상에 있어서 ISP가 특정 업무, 특정 프로젝트에 대해 IT 방향과 계획을 제시하는 차원에서 CIO의 직무였다면, EA는 CEO의 진두지휘 하에 전사 차원의 구성 요소들을 ‘정의’하고 부족한 것을 메워나가며 개선하는 것 등을 들 수도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