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에 제정된 ‘정보시스템의 효율적인 도입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및 2006년 9월에 제정된 정보통신부 고시인 ‘정보기술아키텍처 도입․운영 지침’에 따르면, 공공기관의 장(長)은 정보기술아키텍처 추진 성과와 수립, 활용, 관리 실태 및 수준을 분석하고 관리하게 되어 있다.
범정부 정보기술아키텍처 성숙도 모델은 공공기관에서 정보기술아키텍처를 도입, 운영하는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모델로, 설문형식으로 구성된 질의서를 통해 정보기술아키텍처 성숙 수준을 수립역량, 활용역량, 관리역량별로 최하 1단계에서 최고 5단계로 측정하게 되어 있다.
이 모델은 공공기관 정보기술아키텍처 담당자, 학회 및 컨설팅 업체의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들의 협의를 거쳐 만들어졌으며, 국내 정보화 환경을 고려하고, 기관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보기술아키텍처 관련법과 제도를 반영해 성숙도 측정 매뉴얼과 함께 제공되고 있다.
정보기술아키텍처 도입 기관에서는 성숙도 모델을 이용해 정보기술아키텍처 추진성과를 객관적으로 분석해 향후 발전 방향을 설정할 수 있으며, 범정부 차원에서는 개별기관의 정보기술아키텍처 도입 ․ 활용 수준을 일관된 기준으로 파악함으로써 체계적 현황분석 및 정책수립이 가능하게 된다.
정보기술아키텍처 성숙도 모델은 정보기술아키텍처 포털 사이트(www.itapmo.org)에서 다운받을 수 있으며, 향후 범정부 정보기술아키텍처 관리시스템(GITAMS : Government 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 Management System)에 탑재돼 성숙도 측정을 자동화 할 예정이다.
한편 한국전산원은 지난 8일 국회 본회의에서 ‘정보화촉진기본법 개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원 명칭을 ‘한국정보사회진흥원’으로 정식 변경한다. 다만 개정안이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관보에 개재되고 정식 공포되는 절차가 이뤄지는 다음달 중순부터 변경된 명칭을 사용할 계획이다.
'I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A 유형 / ITA 개발 (0) | 2008.07.16 |
---|---|
ITA/EA 이행계획 수립 시 이행과제 우선순위 도출 방법 (0) | 2008.06.10 |
ITA 개념 / ITA의 구성요소 (0) | 2008.06.10 |
ISP, EA, ITA의 개념과 차이 (0) | 2008.06.10 |
정보기술아키텍처(ITA)의 구성요소와 현황 (0) | 2008.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