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정보

e-Healthcare 해외 사례

달팽이1 2008. 7. 16. 13:53

국민생활정보화(e-life) 응용사업 해외사례 조사, 전산원

(정보화정책 이슈 04 - 지원 - 01 / 2004. 4

 

 

e-Healthcare 해외 사례 관련 내용 요약

 

 

☆ e-Healthcare 정의

‘Internet 등 on-line 및 정보통신기술과 전자기술이 응용된 기기 등 기술수단을 이용하여 환자, 의료진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에게 의료 및 의료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것’

 

 

 

☆ e-Healthcare 필요성

- 의료분야에서도 적극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스스로 의료서비스를 선택하고자 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 의료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뛰어넘는 도구로써 정보기술이

  이용되고 있음

- 의료비 증대의 부담을 완화시키고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e-health를 추진

- 노인 의료수요의 증가

- 빈부격차로 인한 의료 소외계층의 존재 등으로 의료비 부담이 증가할 전망

- 의료분야에서도 타 산업분야에서 정보기술을 응용하여 효율성을 높인 것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e-Health 형태

    -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서비스
     - IT기술 및 멀티미디어 장비 등을 이용한 원격진료
     - 지역의료 네트워크
     - 의료정보 표준화, 전자의무기록 도입 등을 목적으로 한  병원전산화

 

 

☆ 국내

- 민간분야의 건강포탈 사이트, 병원 웹사이트를 이용한 정보 제공, 진료예약 등의

  서비스는 이미 활성화 되어 있음

- 반면, 인터넷상의 건강, 의료 관련 정보에 대한 인증 서비스 등

   공공적 성격을 띤 온라인 서비스는 미흡한 편임

- 원격진료는 ’90년대에 시범사업을 통해 그 가능성을 타진한 바 있으나  정보통신기반의 한계

   등으로 크게 활성화되지 못함

-지역의료네트워크는 몇몇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시도되고 있으나 전체적인 움직임은

  미미한 상태임

- 전산화 정도의 차이, 전산데이터의 호환 의료정보 표준의 정립 등 선결해야 할

  과제가 많으며, 개별 병원전산화 역시 대형병원 위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임

 

 

☆ 북미

- 지역이 넓고 주거지가 산재해 있는 지리적 여건으로 인해

   원격진료, 병원 네트워크에 대한 추진 사례가 많음

 

☆ e-Healthcare 해외 사례 유형

- 유형 1 :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서비스
- 유형 2 : IT기술 및 멀티미디어 장비 등을 이용한 원격진료
- 유형 3 : 지역의료네트워크
- 유형 4 : 의료정보 표준화․전자의무기록 도입 등을 목적으로 한 병원전산화

 

 

[유형 1] :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서비스

 

프랑스의 희귀병 치료를 위한 OrphaNet (http://www.orpha.net)
- 희귀병 환자들을 위하여 정보검색 및 전문연구자, 의료기관 등과 연결이 가능한 장을 제공
- 동병 환자모임 등에 대한 웹사이트의 제작, 운영을 지원하고 다국어 서비스 제공

 

미국의 개인건강정보 사이트 www.personalpath.com
- 개인건강기록을 보관할 수 있고 관련된 헬스케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홈페이지 제공

- 자신과 관련있는 헬스케어 정보를 제공받거나, 자신의 건강 기록을 보관하는

   전자건강수첩과 같이 사용

- 미국의 민간보험조직인 블루크로스&블루실드가 제공하는 서비스

- 회원이 자신의 희망에 따라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음
- 자신의 건강기록 및 가족의 건강데이터를 기록 가능하여 전자건강수첩과 같이 사용할 수 있음
- 개인의 투약정보, 질병이력, 건강진단기록 가능
- 새롭게 업데이트되는 질병&약품 정보 및 알레르기, 알츠하이머병, 암 등의

   만성질환에 대한 정보를 제공
- 긴급시 병원에서 인터넷으로 접근하는 것도 가능
- 고혈압 등 만성질환에 대한 환자 참여 의료관리 프로그램 제공
- 진찰실에서 이루어지는 진단 및 치료의 과정을 환자 스스로 체크해 볼 수 있음
- 의사의 진단방법, 약의 처방 등에 대해 알려줌으로써 환자의 참여가 가능
- 운동, 식사 등 일상에 대해 주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

스위스의 의료정보 인증 프로그램 Health on the Net
- 인터넷상의 각종 의료정보 제공 관련 웹사이트의 품질기준을 제시하는 HON Code를 부여

- HON Code는 의료, 건강 관련 웹사이트들의 책임있는 자기 규제에 대한 국제적으로 인정된 기준

- 국내의 경우 양의학과 한의학, 대체의학 등 여러 입장 중 고려하여 조율하기가 어려우며
- 민간 영역에 대한 국가의 개입으로 비춰질 우려가 있음

 

 

[유형 2] : IT기술 및 멀티미디어 장비 등을 이용한 원격진료

 

미국의 Avera Mckennan TeleHealth Network
- 원격진료를 위한 기술을 도입하여 환자 및 그 가족이 진료를 받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수고를 덜어 노력과 비용을 절감

- 18병상 규모의 농촌지역 병원에서부터 450병상 규모의 3차의료기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16개 병원에 양방향 비디오컨퍼런싱 시스템을 설치

- 낯선 장비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해 원격진료의 및 이용도 저하의 가능성 존재
- 진료의사에게 정보에 대한 신뢰감을 줄 수 있도록 스크린에 보이는 이미지가

   직접 환자를 같은 결과라는 믿음을 줄 수 있어야 함

 

스페인의 노인요양시설 원격진료사업
- 양로원에 원격진료장비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병원에서 담당의사가 의료서비스를 제공

- 1차적으로 스페인 내외에 59개소의 양로원을 보유한 Mensajeros De La Paz를 대상으로

  현지 로컬업체가 서비스 제공자로 참여
- 시범사업 종료 후 스페인 정보통신부의 승인 획득

- 설치비 1개소당 평균 3000만원선, 운영비 환자 1인당 월 4만5천원선

- 각 양로원에 대한 통합 관리, 예약 관리가 가능한 웹 사이트 구축
- 각 양로원에 원격 진료를 위한 장비 설치
- 의사가 위치하는 병원에 Coordination Center를 설치하고 의사용 모듈을 장비
- 메인 서버(Windows 2000 Server, SQL Server, IIS)는 IDC에 설치
- 서비스 제공 업체가 5명의 의사를 통해 59개소 10000여명의 노인들에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제공 업체는 노인 1인당 월별로 30유로(한화 4만 5천원)을 각 양로원에 청구

 

 

 

[유형 3] : 지역의료네트워크

 

??지역의 의료기관간에 온라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의료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서로 협력
- 환자들이 어느 의료기관을 방문해도 지속적인 진료가 가능 하도록 진료기록의

  공동활용을 시도하고 있으며, 원격진료, 협진, 온라인 서비스 등을 포함

   (진료기록의 공동활용이 국내에서 가능한가?? 병원.의사들이 협조적일까??)

 

일본의 오사카 헬스케어 네트워크
- 네트워크형 전자 진료기록카드에 의한 병원, 진료소 제휴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보안이 보장된 인터넷 네트워크 환경 제공

 

미국의 Guthrie Clinic Patient Link Service
- Guthrie Clinic의 각 병원들을 온라인으로 연결하고 이를 통해 환자에게

   진료예약, 질병상담 등 서비스를 제공

 

 

[유형 4] : 의료정보 표준화, 전자의무기록 도입 등을 목적으로 한 병원전산화

 

프랑스의 전자건강카드를 이용한 의료보험상환청구제도 전산화
- 종이 기반의 질병보험상환청구제도를 전산화하고 의사의 진료 행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여 의료비 적정화를 추진

 

일본의 온라인 의료비 청구서 시스템(Online Receipt Computer Advantage) 프로젝트
- 표준 의료비 청구 소프트웨어를 오픈소스로 개발, 무료보급하여 의료정보 교환의

   효율화와 표준화를 도모

 

 

 

 

해외의 경우도 원격의료에 있어서 법, 제도상의 제한, 진료 정보공동활용에 대한

개인정보 침해 우려, 의료계의 반발 등 국내와 유사한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의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북아 의료허브로 가려면 ‥  (0) 2008.07.26
u-Healthcare 서비스의 현황과 과제  (0) 2008.07.26
병원의 u-Health의 개념  (0) 2008.07.16
"의약분업이 아닌 의약협업이 u-Health"  (0) 2008.07.16
e-health  (0) 2008.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