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plan과 Norton의 모형
출처 : Kaplan & Norton(2003), 번역본 31쪽
1) 정부와 비영리조직에서 재무적 관점은 목표가 아니라 제약 조건으로 작용
2) 공공 및 비영리 조직에 있어서 성공에 대한 궁극적인 정의는 사명 달성의 성과
- 공공 및 비영리조직들은 다양한 범위의 사명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영향력,
고차원적인 목표 등을 다양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음
3) 공공조직은 무형자산(학습과 성장)으로부터 지원받는 내부 프로세스 성과를 통해 성공을 창출
4) 공공부문의 전략체계도에서 재무 관점은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음
Olve, Roy, Wetter의 모형
출처 : Olve, et. Al.(1999), 번역본 431쪽
1) 공공기관은 재무적 초점 대신 좀 더 넓은 관점에서 업무수행의 결과가 묘사되어야 함
- 공공기관에 요구하는 것은 이익이 아니라 사회적 효익
- 민간부문에서의 재무관점은 성과관점으로 대체
2) 공공부문에 있어서도 고객관점은 중요
- 단순히 서비스의 공급차원에서 고려되어서는 안됨
- 고객관점을 관계관점으로 확장시켜, 프로세스관점과의 균형을 나타낼 수 있음
3) 프로세스 개념을 쉽게 적용하기 어려운 특성
- 프로세스관점은 활동관점으로 대체
4) 학습과 성장관점은 미래관점으로 대체
- 학습과 성장관점은 미래 업무운영에 대한 근거를 제공
- 해당 연도에 성과가 나타나지 않는 활동이 많으므로, 학습과 성장관점을 미래관점으로 대체함
으로써 이런 활동들이 중요성을 인정 받을 수 있음
Niven의 모형
1) 공공조직은 이익의 증대가 아니라 다양한 사명을 완수하기 위해 설립되므로, 조직의 사명이
BSC의 맨 위에 위치해야 함
2) 공공조직의 사명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재무적인 이해관계자들이 아닌 조직의 고객
- 고객관점이 위에 위치 : 공공조직이 수행하는 활동들이 궁극적으로 고객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는 의미
3) 공공부문 BSC 모형에서도 재무지표는 조직의 성공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 또는 제약조건으로서
고려되어야 함
공공기관과 BSC의 특성
1) 공공부문의 BSC 모형에서는 공공부문의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함
- 공공부문은 영리추구가 주요목적이 아니므로, 재무적 측면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성을 차지
하거나 아니면 제약 조건으로 받아들여져야 함
2) 공공부문은 그 목표가 모호(전영한, 2004)
- 추구하는 목표가 다원적
- BSC에서 제시되는 다원적 관점은 공공부문 목표의 다원성을 담기에 적절한 도구
3) 특정 관점이나 요소가 반드시 포함되거나 배제되어야 할 근본적인 원리가 존재하지 않음
- BSC가 적용되는 공공기관의 특성을 반영하여 유연한 접근이 시도될 필요가 있음
정부기관 BSC 전략 체계도 개발의 주요 이슈
1) BSC를 적용하는 단위 : BSC를 도입하는 근본 목적과 결부
2) 미션과 가치 그리고 비전의 정렬 : 전략체계도의 간소화와 관련
3) 정부기관에 적합한 관점 : 성과지향적, 고객지향적 정부의 구축이라는 기본 방향과 관련
4) 핵심성공요인간 인과관계 : 다원적이고 포괄적이라는 특성에 따라 전략체계도에서도 이를 반영
참고문헌
1) 전영한(2004) “공공조직의 목표모호성” [한국행정학보](38.5), 한국행정학회
2) Kaplan & Norton(2003), Strategy Maps, Harvard Business, Press; 갈렙ABC(역), 21세기북스
3) Niven, Paul(2002) Balanced Scorecard Step-by-Step for Government and Nonprofit
Agencies, John Wiley & Sons
4) Olve, Roy and Wetter(1999), Performance Drivers, John Wiley & Sons; 송경근(역), 한언
[출처] 공공기관의 BSC 모형|작성자 구미랑
'BS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전략과 전략경영의 차이점 (0) | 2008.08.08 |
---|---|
종합 성과평가 및 관리를 위한 새 방법론, BSC (0) | 2008.08.07 |
BSC도입방법론 (0) | 2008.07.30 |
전략 경영 관리의 주요 세 가지 분야-BSC (0) | 2008.07.16 |
경영전략 : BSC의 전략적 활용 (0) | 2008.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