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투자가치의 IT 거버넌스 |
신재훈 삼성SDS 전략기획그룹장 |
이처럼 IT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IT 부문에서 발생하는 위험이 조직 전체를 위험으로 몰고 갈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또 IT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비용은 해를 거듭할수록 늘어나고 있으며 IT가 감당해야 할 환경 역시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기업 경영에서 IT의 전략적 중요성과 IT 투자비용이 커짐에 따라, 그 동안 기술전문가의 영역으로 치부해왔던 IT에 대해 CEO나 CFO 등 고위 임원진이 참여하는 이사회에서 위험관리와 지배구조를 점검해보려는 시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IT 거버넌스라고 불리는 이런 시도는 경영상의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기업 지배구조를 정비하려는 노력과 맞물려 최근 기업 경영의 커다란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IT 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은 2002년 세계 최대 에너지 기업인 엔론의 파산을 시작으로 월드컴, 타이코, 퀘스트 등 미국 주요 기업들의 회계부정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기업경영에 대한 불신이 팽배하게 된 데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 연이은 회계부정 사건들은 부실경영으로 인한 피해로부터 선량한 투자자들을 보호하고 경영진에게 책임을 추궁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계기가 됐다. 이에 따라 샤베인-옥슬리 법안 등이 제정돼 기업지배구조 개선에 박차를 가하게 된 것이다.
IT 거버넌스의 궁극적인 목적은 IT 자원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통해 IT가 조직에 제공할 수 있는 경영가치를 극대화하고 기업경영의 투명성을 높이는 데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IT와 비즈니스를 전략적으로 연계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고 IT 성과측정을 기반으로 IT 투자에 대한 책임감을 높여 투자위험을 완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많은 사람들에게 IT 거버넌스란 아직 익숙하지 않은 개념이지만, IT 거버넌스 체제를 갖추기 위해 필요한 일들의 상당수는 이미 해 오고 있는 것들이다. 다만 기업 지배구조의 투명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는 현상에 발 맞춰 IT 자원에 대한 관리를 CEO가 포함된 이사회 차원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한편 기업이 IT 거버넌스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도입한다 하더라도 모든 회사의 사업환경, 전략, 조직, 문화가 다른 것처럼 IT 거버넌스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원성을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IT 거버넌스를 도입하고자 하는 각 기업에서 풀어야 하는 또 하나의 숙제이다.
국내 IT 업계에서는 아직까지 새로운 CIO 리더십이나 효율적인 IT 거버넌스 구현방법에 대한 논의와 공감대가 부족한 형편이다. 다만 최근 들어 전문가를 중심으로 한국IT거버넌스협회를 결성하려는 움직임이 있는 등 선진화된 IT 거버넌스를 구현하려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는 현상은 다행이라 하겠다.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IT 산업의 속성상 다양한 기술과 개념이 새로운 화두로 등장했다가 사라지는 일이 끊임없이 반복되겠지만, 기업경영의 투명성과 맞물려 있는 IT 거버넌스 만큼은 산업구조의 선진화 및 고도화를 위해 IT 업계의 지속적인 핵심 화두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출처] IT 투자가치의 IT 거버넌스 |작성자 정신차렷
'IT Gover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EA 성공과 IT거버넌스 (0) | 2008.07.15 |
---|---|
PMO는 IT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첫 단추 (0) | 2008.07.15 |
IT거버넌스를 거버넌스해야 한다 (0) | 2008.07.15 |
IT거버넌스의 필요성 (0) | 2008.07.15 |
ITSM 3.0 경색 국면 ‘융빙’ IT 거버넌스 ‘영춘’ (0) | 2008.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