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P

경력개발 IT시스템이 갖춰야할 기능

달팽이1 2008. 6. 12. 20:23
 
출처 Teaching PRO를 꿈꾸는 SHRM | 도미니크
원문 http://blog.naver.com/mcse1/80028395356

많은 기업들이나 공공기관들이 앞다투어 경력개발제도(CDP)를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경력개발제도의 궁극적인 목적은 회사의 목표와 자아실현의 목표를 일치시킴으로써 성과를 최대한 이끌어 내려는 것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인사정책의 방향이 회사 입장에서 직원 입장으로, 중앙통제 중심에서 개인 자율로 변화하는 것과 괘를 같이 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경력개발제도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성공요소는 여러 가지이지만, 훌륭하게 만들어진 제도가 서류상의 제도로 남지 않고 원활하게 실행에 옮겨지려면 IT시스템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경력개발을 위해 직원, 관리자, 인사부서가 해야 할 일들이 당연히 늘어나게 되는데, 모든 것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면 가뜩이나 할 일이 넘쳐나는 개인들의 반발에 부딪쳐 결국 경력개발제도는 유야무야해질 것이 뻔하다.


요즘에는 e-HR이라 하여, 인사관리의 모든 기능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운영하려는 회사가 늘고 있는데, e-HR 내 경력개발 모듈에서 갖추고 있어야 할 기본 기능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모두 5가지가 되겠다.

 

 

 

경력개발 IT시스템은 회사 내에 어떤 직무가 존재하고 직무별 요건은 무엇인지, 각 직무는 어떠한 표준경력경로를 갖게 되는지를 분명하게 정의해 놓은 ‘경력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다시 말해, 누구나 쉽게 자신이 목표로 하는 직무의 내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통 직무기술서의 형태로 경력정보를 제공하는데, 가장 간단한 것이면서도 많은 기업들이 직무의 기본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신경을 쓰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직무가 요구하는 여러 조건(역량, 지식/스킬, 사전 경력 등)에 자신이 얼마나 적합한지, 또는 얼마나 부족한지를 스스로 평가해 볼 수 있도록 ‘직무적합도 평가’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단순한 평가보다는 ‘어떤 것이 부족하니까 이렇게 해 보라’라고 교육과정을 권한다든지 등의 조언을 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이 되어야 한다. 간단한 로직인 것 같지만, 의외로 품이 많이 들어가는 일이다.

 


경력개발 IT시스템에 교육 관련 정보들이 집약되어 있어야 한다. 경력개발 지원에 있어 가장 직접적이면서도 구성원의 만족도를 가장 크게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바로 교육이기 때문이다. 회사 내외에서 실시하는 모든 관련교육 정보를 제공하고 동영상을 통한 온라인 교육은 직접 운영하는 ‘교육 포탈’로서의 기능이 요구된다.


경력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인사부서에서 여러 활동을 하게 되는데, 사내채용(Job Posting), 경력상담, 멘토링(Mentoring), 지식동아리(CoP) 운영 등이 그것이다. 구성원들이 이러한 활동에 스스로 참여하여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능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인사부서가 경력개발 활동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수시로 분석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통계기능과 보고자료 작성 기능도 갖추면 좋겠다.


많은 이들이 경력개발제도에 대해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오해는 ‘내가 가만히 있어도 제도가 나의 경력을 개발해 줄 것이다.’ 라는 식의 생각이다. 경력개발 활동들은 기본적으로 회사가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자율에 의한 것이다. 회사는 어디까지나 지원자일 뿐이다. 스스로 무엇을 개발해야 하는지 계획을 세우고 교육 이력 등을 관리해 나갈 수 있는 공간을 경력개발 IT시스템이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 밖에, 퇴사 후 제2의 인생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취업정보, 창업정보 등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퇴사자와 재직자가 서로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것도 경력개발 IT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기능이라 하겠다.

 

유 정 식  jsyu@infuture.co.kr  인퓨처컨설팅 대표 (http://www.infutur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