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성원교수의 글쓰기와 국어 생활
1.한글맞춤법의구성
한글 맞춤법은 국어를 표기하는 규범으로, 본문6장과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음.
제1장 총칙
제2장 자모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1절 된소리
제2절 구개음화
제3절 ‘ㄷ’ 소리받침
제4절 모음
제5절 두음법칙
제6절 겹쳐나는 소리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1절 체언과 조사
제2절 어간과 어미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5절 준말
제5장 띄어쓰기
제1절 조사
제2절 의존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제3절 보조용언
제4절고 유명사 및 전문용어
제6장 그 밖의 것
<부록> 문장부호
2.한글 맞춤법의 원칙
한글 맞춤법 ‘제1장 총칙’에는 맞춤법 전체에 대한 기본 방침을 세 항목으로 나누어 규정하고 있음.
제1장 총칙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제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1) 한글 맞춤법의 대상
표준어(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 - 표준어 규정 제1항)
2) 한글맞춤법의기본원칙
(1) ‘소리대로’ : 음소주의
①‘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예) 집-웅⇒지붕 알-는⇒아는
②음소와 문자 사이에 일대일 대응을 원칙으로 하므로 쓰기 쉬움.
(최근 컴퓨터 통신 언어에서 나타나는 현상 : ‘이러케’)
③그러나 국어는 교착어로서 하나의 뜻을 나타내는 형태가 환경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발음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소리대로’만 적어서는 뜻을 파악하기 어려움.
예) ‘흙이, 흙을, 흙만’⇒흘기, 흘글, 흥만(?)
④어법에 맞게 적을 필요성이 제기됨.
(2) ‘어법에맞도록’ : 형태주의
①‘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예) 넋-이, 넋-도, 넋-만
②접사, 어미, 조사가 결합해서 발음에 변화가 생겨도 본래의 형태를 밝혀 적음.
예) 맏이, 해돋이 : 조용히, 꾸준히, 정확히, 흔히, 급히 : 울음, 웃음, 있음, 죽음, 삶
③본래의 형태를 밝혀 적기 때문에 음소주의 표기법 보다 복잡한 문법 지식이 필요함.
(3) 음소주의 표기법과 형태주의 표기법의 결합
①‘소리대로적되’와‘어법에맞도록’한다는것은일견상충된것으로보이기도함.
예) 오뚝이(○), 오뚜기(×) : 개굴이(×), 개구리(○)
②한글 맞춤법에서는 지금도 생산적이어서 원형을 찾을 수 있는 경우는 형태를 밝혀 적고,
더이상 생산적이지 않고 독립적인 원형을 찾을 수 없는 경우는 소리대로 적는 방식으로
구별하여 처리.
예) 오뚝-하다(○) ⇒오뚝이 : ‘-하다‘나 '-거리다'가 붙는 어근에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그 원형을 밝혀 적음.
개굴-하다(×)⇒개구리 : ‘-하다'나 '-거리다'가 붙을 수 없는 어근에 ‘-이'가 붙어서
명사가 된 것은 그 원형을 밝혀 적지 않음.
3) 단어와 띄어쓰기
(1) 띄어쓰기의 기준은 단어
①‘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예) 밝은 옷을 입을수록 젊어 보이는 것 같다.
(2) ‘원칙으로 한다’의 규정이 허용하는 예외
①조사는 단어이지만 붙여쓴다.
예) 책이, 책을, 책으로부터
②보조 용언은 띄어쓰기도 하지만 붙여 쓸 수도 있다.
예) 먹어 버렸다, 먹어버렸다
(띄어쓰기에 관해서는 제5장 ‘띄어쓰기’ 규정에서 자세히 보기로 함.)
4) ‘외래어’에 대해서는 별도의 규정으로 처리
①‘외래어는‘ 외래어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②한글 맞춤법에 한자어 적기 방법에 대한 규정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음.
외래어와 외국어
외국어 : 외국에서 사용되는 어휘
외래어 : 외국어 중에서 국어의 어휘 체계에 편입된 말. 국어화한 외국어
3. 한글 자모
한글 맞춤법 제4항에서는 한글 자모의 명칭과 사전 배열 순서에 대해 규정하고 있음.
제2장 자모
제4항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넉 자로 하고, 그 순서와 이름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재 / 결제 (0) | 2008.07.19 |
---|---|
하므로서 / 하므로써 / 함으로써 / 함으로서 ??? (0) | 2008.07.19 |
'순둥이에요', '순둥이예요' 무엇이 맞을까? (0) | 2008.06.28 |
자주 틀리는 맞춤법(2) (0) | 2008.06.28 |
자주 틀리는 맞춤법 (0) | 2008.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