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순둥이에요', '순둥이예요' 무엇이 맞을까?

달팽이1 2008. 6. 28. 16:38

 

 

 '-에요'는 '이다', '아니다'의 어간 뒤에 붙어 설명, 의문, 명령, 청유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어미이다.
ex. 그건 내가 한 게 아니에요.
     그 아이는 읍내 중학교에 다니는 학생이에요.

 

 여기서 '아니에요'는 '아니-'라는 형용사의 어간에 '-에요'라는 어미가 결합한 것이다.

 종결 어미 '-어요'는 '아니다'와 '-이다' 뒤에 붙을 때 '-에요'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그 쓰임은 다음과 같다.

 

ex. 먹 - + -어요 ⇒ 먹어요

     아니- + -어요 ⇒ 아니어요, 아니- + -에요 ⇒ 아니에요

     장남이- + -어요 ⇒ 장남이어요, 장남이- + -에요 ⇒ 장남이에요

 

 위에서 보듯이 형용사 어간 '아니-'와 서술격 조사 '이-' 다음에는 '-어요'와 '-에요'가 결합되어 쓰인다. 이 때, '아니어요, 아니에요'는 '아녀요, 아녜요'로 줄어들 수 있다.

 

 아니어요 ⇒ 아녀요, 아니에요 ⇒ 아녜요

 그러나 '장남이어요, 장남이에요'는 '장남여요, 장남예요'로 줄어들지 않는다.

 

 한편 선행 명사가 받침이 없고, 서술격 조사 '이-'에 '-어요/-에요'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형태는 쓰이지 않고, 줄어든 형태만이 스인다.

 

 ex. 장남이어요 ⇒ 장남여요(X), 장남이에요 ⇒ 장남예요(X)

      철수이어요(X) ⇒ 철수여요, 철수이에요(X) ⇒ 철수예요

 

그러므로 종결 어미 '-어요, -에요'가 붙는 '아니다, 이다'의 쓰임을 종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받침이 없을 때 : -예요, -여요('-이에요', '-이여요'의 준말)

 ex. 영숙이-예요, 철수-예요, 최고-예요/영숙이-여요, 철수-여요, 최고-여요

 

(2) 받침이 있을 때 : -이에요/-이어요

 ex. 장남-이에요/장남-이어요

 

(3) 아니다 : 아니에요,아녜요/아니어요, 아녀요

 

 그러니 사람 이름을 표현할 때도'수정이에요'라고 쓰지 않고 '수정이예요'라고 써야 바르다.

 이때 '이'는 사람 이름 뒤에 붙는 접미사로, 분석하면 '수정이+이에요'가 된다. 여기서 '이'와 '이'가 두 개 나타나는 현상을 피하기 위해서 '이에'가 줄어 '예'가 되는 것이다.

 즉 '이예요' 전체가 어미로 결합한 것이 아니라, 여기서 '이'는 사람이름 뒤에 붙는 접미사로 '수정이'에 어미 '-이에요'의 준말인 '-예요'가 결합한 말이다.

출처 : 우리말 배움터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재 / 결제  (0) 2008.07.19
하므로서 / 하므로써 / 함으로써 / 함으로서 ???  (0) 2008.07.19
자주 틀리는 맞춤법(2)  (0) 2008.06.28
한글 맞춤법의 원칙  (0) 2008.06.28
자주 틀리는 맞춤법  (0) 2008.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