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정의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허기 위해서는 자료(Date), 정보(Information), 지식(Knowledge)간의 개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자료란 사건이나 사태를 단순히 기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자료는 그것을 활용하는 사람에게 포착되기 이전까지는 아무런 의미와 가치를 지니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즉, 정보는 자료가 특정 상황에서 특정 의도를 가지고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상황 하에서 선택적으로 지각된 자료라고 볼 수 있다. 나아가 지식이란 겉으로 피상적 사실을 이해하는 수준을 넘어서 특정한 현상이나 사건이 발생한 원인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기 위해 관련 정보를 조합해서 분석하고,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주어진 현상의 이면을 근원적으로 이해하는 행위 또는 그 행위의 결과를 의미한다.
[그림 1)] 지식, 정보 자료의 계층관계 및 특성
[그림 1]은 자료, 정보 및 지식의 계층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자료가 가장 구조화되어 있으며 지식은 구조화된 정도가 약하다. 그러나 가치나 비용측면에서는 지식이 훨씬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식관리라는 것은 구조적 정도가 약하면서도 전략적 가치가
높은 지식을 어떻게 구조화하여 이를 활용하는가의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지식관리 관점에서 지식을 정의한 몇 가지 예를 살펴보면 다음 [표 1]과 같다.
종합적으로 지식은 조직의 인적자산(Intellect Capital)에 체득되어 있는 것으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으며, 기업의 의사결정과 비즈니스에 도움이 되는 모든 지적능력으로 정의한다.
학자 |
지식의 정의 |
Brown & Duguid |
쉽게 공유가 가능한 지식을 Know-What으로 알고 있는 사실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구체적인 Know-How로 구분하여 정의 |
Krogh |
지식은 명확하고 쉬운 코드로 병경되어 여러 사람과 공유하거나 이전될 수 있는 형태와 경험, 느낌, 기분 등으로 표현될 수 있는 형태로 정의 및 구분될 수 있는 것이다. |
Leonardo & Sensiper |
지식이란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경험에 근거하며, 기업 의사결정자의 적절한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는 정보이다 |
Peter Drucker |
지식이란 업무의 수행방법을 각종 정보를 통해 개선, 개발 및 혁신하여 사회 및 경제적으로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다(Know How, Know Why, Know Where, Know What의 상호작용) |
출처 : 경험과 사례중심이 사이버 지식경영(이근식, 유상훈 공저) |
'지식경영&지식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D부서 내 지식경영 (0) | 2009.11.06 |
---|---|
연구개발의 특성과 지식관리 (0) | 2009.11.06 |
공공기관 지식행정의 특성 (0) | 2009.11.03 |
지식경영 성공을 위한 변화관리 전략 6가지 (0) | 2009.10.25 |
지식의 분류 (0) | 2009.10.10 |